Accounting

올해에는 외부감사를 받아야 할까?

회부 2025. 4. 17. 16:38
반응형

올해 우리 회사, 외부감사 받아야 할까?

사업을 운영하다 보면, 특히 회사 규모가 커지기 시작할 무렵 이런 고민을 하게 됩니다.

"우리 회사는 올해 외부감사 대상일까?"

이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법적 의무와 직결되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하게 확인하고 대비해야 합니다. 외부감사는 일정 규모 이상의 회사가 **외부 감사인(공인회계사)**에게 회계감사를 받아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 제도입니다. 이를 소홀히 하면 과태료나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도 있죠.


외부감사 대상 요약

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, 해당 연도에는 외부감사를 받아야 합니다.

주권상장법인

  • 코스피, 코스닥, 코넥스 등에 상장된 법인은 무조건 외부감사 대상입니다.

상장을 준비 중인 회사

  • 올해나 내년에 상장(IPO)을 준비하는 회사도 외부감사를 받아야 합니다.
  • 예비심사청구 시 감사보고서가 필수 제출자료입니다.

일반 비상장법인 중 일정 기준 이상인 회사

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정한 아래 기준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외부감사를 받아야 합니다.

🔹 [주식회사] 외부감사 대상 기준

  1. 자산총액이 500억 원 이상
  2. 매출액이 500억 원 이상
  3. 아래 네 가지 중 2개 이상 충족 시:
    • 자산총액 120억 원 이상
    • 부채총액 70억 원 이상
    • 매출액 100억 원 이상
    • 종업원 수 100명 이상

🔹 [유한회사] 외부감사 대상 기준

  1. 자산총액이 500억 원 이상
  2. 매출액이 500억 원 이상
  3. 아래 다섯 가지 중 3개 이상 충족 시:
    • 자산총액 120억 원 이상
    • 부채총액 70억 원 이상
    • 매출액 100억 원 이상
    • 종업원 수 100명 이상
    • 사원 수 50명 이상

체크리스트: 우리 회사는 해당되나요?

외부감사 대상 여부를 판단하려면 전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다음 항목을 확인해 보세요:

  • 📊 자산총액
  • 📈 매출액
  • 💸 부채총액
  • 👥 종업원 수
  • 👤 (유한회사의 경우) 사원 수

위 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이 있다면 외부감사 대상이 될 수 있으니, 미리 전문가(회계법인, 회계사)와 상담하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.


관련 법령 보기

자세한 기준은 아래 법령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👉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바로가기


마치며...

외부감사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감사를 받지 않거나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과태료나 형사처벌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, 사전 확인과 준비가 매우 중요합니다.

외부감사는 단순한 회계검토가 아니라,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절차입니다. 특히 투자유치, 금융기관 대출, 상장 준비 등을 고려하고 있다면 외부감사를 성실히 준비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.